실연을 극복하는 3가지 방법, 가장 효과적인 것
성지식
0
0
0
2020.06.06 09:20
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재평가는 실연당한 사람들이 사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속삭닷컴제공)
“가슴은 상처받기 위해 만들어졌다.”(아일랜드 출신 시인 겸 소설가 오스카 와일드)
실연은 아무리 고통스럽더라도 피할 수 없는 삶의 한 부분이다. 연인과의 이별은 분노·슬픔·수치심 등 다양한 감정을 끌어내고, 건강문제도 일으킬 수 있다. 여기엔 불면증·우울증·면역기능저하, 심지어 ‘상심증후군’(broken heart syndrome) 같은 일시적인 심장병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런 심각한 증상의 정도는 연인 관계의 강도와 실연 자체의 트라우마(외상) 수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심리학자인 로버트 J. 스턴버그가 처음 내놓은 ‘사랑의 삼각 이론’에 따르면 열정·친밀감·헌신성은 각기 다르게 상호작용해 다양한 종류의 사랑 경험을 유형화한다. 이런 여러 가지 사랑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사랑의 열병’ (infatuation, 열정적인 사랑)과 ‘애착’(attachment, 우애적 사랑)이다.
연인들은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사랑을 통해 관계를 진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열정적인 사랑은 관계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형태이며, 이는 더욱 더 안정적인 우애적 사랑으로 자리 잡는다. 이는 사랑의 열병에서 비롯된 감정이 장기간에 걸쳐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의 경험에 따라 매우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또 헤어진 뒤의 감정적 고통도 매우 다를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 미주리대 산드라 랜즈슬랙·마이클 산체스 교수팀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가지 실연 대처 전략을 연구했다.
첫째, 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재평가다. 옛 파트너의 부정적인 특성(예컨대 ‘지나치게 집착한다’·‘너무 천박하다’·‘너무 나이가 많다’ 등)을 강조한다. 이는 헤어진 뒤 사랑의 감정을 줄이고 기분이 나아지게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 관계 자체의 부정적인 특징에 대해 생각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기분을 언짢게 하는 부정적인 생각을 곱씹게 하는 우려가 없지 않으나, 장기적으로는 효과적인 대처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감정 자체에 대한 재평가다. 이별에 따른 감정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여기엔 ‘이별 후 우울증’이 이별의 불가피한 일부분임을 인식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는 옛 파트너에 대한 감정을 여전히 품고 있음을 인정하고, 자신에 대한 판단을 내리지 않고 이런 감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을 뜻한다.
셋째, 기분전환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별을 다루는 가장 간단하고 쉽게 택하는 방법이다. 어떤 활동에 몰입해 시간을 채우는 전략이다. 평소보다 더 열심히·더 오래 일하거나, 새로운 취미활동을 시작하거나, 옛날 영화를 몇 편 몰아서 한꺼번에 보는 식이다.
기분전환은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괴로운 생각의 반복과 우울한 기분을 억제해 준다. 이는 단기적인 전략에 더 가깝지만, 우울증을 통제해 평소와 다름없이 삶을 유지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미주리대 연구팀은 이 같은 3가지 전략을 실험하기 위해 20~37세 남녀 24명(여성 20명, 남성 4명)을 참가자로 모집했다. 이들은 최근 연인과 이별해 여전히 고통을 겪고 있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옛 파트너의 디지털 사진 28장을 제출토록 했다. 또 연인 관계의 지속 기간 및 관계의 질, 옛 파트너에 대한 애정의 정도(1~9점 척도) 등에 관한 설문에 답변하도록 했다. 그 다음 3가지 실연 대처 전략 및 통제 상태(전략 미사용) 등 총 4가지 상황에서 참가자들의 뇌파를 측정했다. 또 매번 해당 전략을 자극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간단한 질문을 던지거나 그들의 진술을 받았다.
연구팀은 순서효과를 피하기 위해 모든 상황을 무작위 순서로 제시했다. 또 초기 뇌파를 판독한 뒤, 참가자들에게 옛 파트너의 사진을 보여주고 뇌파 결과로 흥분도를 측정했다. 이와 함께 사랑의 감정 강도 등을 나타내기 위해 특수 슬라이더를 사용했다.
연구팀은 모든 참가자들이 비탄에 대처할 때 각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옛 파트너에 대해 느끼는 사랑의 강도와 이별에 따른 혼란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예상대로, 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재평가와 기분전환이 이별 후 사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개별 전략을 평가할 때, 부정적 재평가는 사랑의 감정을 줄이는 데 특히 유용했다. 물론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사람들의 기분을 언짢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이 전략을 이별 후 사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단기적인 효과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이 세 가지 전략이 장기간에 걸쳐 사랑의 감정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똑같이 효과적일지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연구 결과는 ‘실험 심리학’저널에 발표됐다.
성지식 Hot Issue
글이 없습니다.